.📌 KORI Stock Insight
하루를 마무리하며, 자정에 전하는 오늘의 종목 인사이트.
오늘 소개할 종목은 '마녀공장(439090)'입니다. 2023년 11월 코스닥 상장 이후 단숨에 화장품주 대표 성장주 반열에 오른 주자이며, 최근 조정 이후 주가가 안정 구간에 진입하며 다시금 매수 관심을 받고 있는 종목입니다.
🧴 종목 기본 정보
- 종목명: 마녀공장
- 종목코드: 439090
- 상장일: 2023년 11월 22일 (공모가 18,000원)
- 7월 11일 종가: 18,890원
- 시가총액: 약 3,760억 원
- 업종: 화장품 제조 / 기능성 스킨케어 중심
- 주요 제품: 퓨어 클렌징 오일, 갈락토미세스 에센스, 세라마이드 크림
- 판매 채널: 자사몰, 올리브영, 쿠팡, 무신사, 아마존, 티몰 등
- 고객 타깃: 2030 여성 중심 → 최근 40대 이상 유입 증가
🧬 기업 개요와 포지셔닝
마녀공장은 ‘착한 성분’, ‘깔끔한 패키지’, ‘합리적 가격’으로 빠르게 성장한 국내 대표 클린뷰티 브랜드입니다.
무리한 마케팅보단 SNS 바이럴, 입소문, 리뷰 마케팅 중심으로 팬층을 확보했으며, 2020년 이후 본격 성장 구간에 진입해 단 3년 만에 상장에 성공했습니다.
- 주요 특징
✔ 전 제품 EWG 그린 등급 성분 사용
✔ 합리적 가격: 대부분 제품 2만원 미만
✔ 높은 재구매율: 클렌징 오일 재구매율 60% 이상
✔ 글로벌 동시 진출: 일본, 동남아, 미국, 중국 등
특히 클렌징 오일은 누적 판매 1,500만 병, 에센스 제품은 ‘올리브영 어워즈’ 1위 수상 등으로 이미 브랜드 충성도 확보된 상태입니다.
💹 최근 흐름 요약
- 상장 후 주가 추이
- 공모가 18,000원 → 상장 당일 26,400원 시초가 형성 → 2024년 초 45,000원 돌파
- 이후 3~4월 하락 조정기 거치며 현재는 공모가 대비 약 +5% 수준에서 안정적 박스권
- 외국인 매도 출회 이후 최근 기관 수급 재유입 확인됨
- 실적 추이 및 기대감
- 2023년 실적 기준, 매출 980억 / 영업이익 170억 기록
- 2024년 2분기, 중국 위생허가 반영 → 수출 매출 급증으로 영업이익률 20% 회복 기대
- ‘레티놀 라인’, ‘블루비타C’ 등 고마진 제품 출시 효과 본격 반영 중
- 해외 유통망 확장
- 일본: 아마존재팬, @cosme 1위
- 중국: 티몰, 도우인 입점 완료 → 3분기 본격화
- 미국: Amazon 및 현지 웹몰 운영
🌐 해외 진출 전략 및 경쟁력
마녀공장의 글로벌 확장력은 거품 없는 가격, 성분 중심 마케팅, 간결한 브랜딩 덕분에 'K-뷰티의 본질적 경쟁력'을 되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해외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약 28%
- 2024년 예상: 35~40%까지 확대
- 기존 주요 수출 기업과 차별점:
- 중국 의존도 과도한 기업과 달리 분산형 글로벌 구조
- 클렌징→토너→에센스→크림까지 풀스택 라인업 보유
- 자체몰 기반 반복 구매 유도 + 쿠팡·무신사 등 내수 플랫폼 강세 유지
📊 재무 요약 및 밸류에이션
항목2023년 (확정)2024년 (추정)2025년 (전망)
매출액 | 980억 원 | 1,520억 원 | 1,880억 원 |
영업이익 | 170억 원 | 310억 원 | 370억 원 |
순이익 | 140억 원 | 265억 원 | 315억 원 |
EPS | 705원 | 1,335원 | 1,586원 |
PER | 26.8배 | 14.1배 | 11.9배 |
PBR | 4.8배 | 3.6배 | 3.0배 |
- 현재 주가(18,890원) 기준 2024년 Forward PER 약 14.1배 수준
- 경쟁사 평균 PER: 코스맥스 21배, 클리오 16배, 연우 13배
✨ 마녀공장은 '실적 기반 가치 재평가' 구간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음
📈 수급과 기술적 흐름
- 기관: 6월 중순부터 순매수 전환 → 일부 성장 ETF 편입 확인
- 외국인: 아직은 관망세이나, 3분기 실적 발표 전후 유입 가능성 존재
- 개인 수급: 최근 박스권 내 매수세 분할 접근 중
- 기술적 분석:
- 단기 지지선: 18,000원 (공모가)
- 중기 저항선: 22,000원
- RSI 중립권 (49~52), 거래량 감소 구간 → 저점 매수 구간 형성
🎯 투자 전략
🔵 중기 전략 (3~6개월)
- 실적 베이스 밸류 재평가 확산 구간 진입
- ‘티몰 입점’, ‘미국 재고 회전율’, ‘레티놀 신제품’ 매출 추이 확인 후 1차 목표가 24,000원
- 분할 매수 전략 유효: 18,000원~18,500원 구간 비중 확대
🟢 단기 전략 (1개월 내외)
- 2분기 실적 발표 전후 단기 모멘텀 가능성 있음
- 눌림목 접근 전략: 18,500원~19,000원 진입 시 21,000원 단기 익절 유효
- 손절 기준: 17,500원 (20일 이평선 하회 시 매도)
🧾 요약 & KORI 코멘트
마녀공장은 ‘SNS 최적화’, ‘가성비 중심’, ‘브랜드 충성도 높은’ 소비주로, 단순 화장품주 그 이상입니다.
실적 성장성 + 저평가 재평가 + 글로벌 다변화가 겹치며 코스닥 내에서 보기 드문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종목이죠.
“이름은 마녀지만, 실적은 정통파.”
코스닥 2차 라운드의 주인공이 될 가능성을 눈여겨보세요.